본문 바로가기
경제를 알아가기/내 집 마련하기 프로젝트

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프로젝트 : 기초 상식

by 인생기록부 2024. 12. 31.
반응형
반응형

 

요즘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너무 높아, 내 집 마련하기가 힘들다는 뉴스기사를 종종 봅니다. 국제에서 통용되는 지표인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(PIR) 결과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. PIR은 주택 가격을 연 가구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, 값이 높을수록 주택 구입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2023년 기준으로, 나라별 주요 도시서울의 PIR은 26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서울에서 평균적으로 가구 연 소득의 26배에 해당하는 주택을 구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우리와 소득이 비슷한데 우리보다 높은 PIR 수치를 가진 도시는 국제적으로도 홍콩(PIR 44.9) 한 도시뿐입니다. 샌프란시스코(15,96), 뉴욕(10.68)만 봐도 상대적으로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한국의 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주거 인프라는 아파트입니다. 각종 편의시설과 주거의 안정, 사람들의 인식 등 주거에 필요한 부분을 만족시켜 주기 때문입니다. 오늘은 신혼부부가 내 집 마련을 위한 계획의 첫 번째 시간으로 서울 및 지방에서 24평(약 79.2㎡) 아파트를 구매하려면, 평균 소득과 주택 가격을 고려하여 필요한 저축 기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1.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 (통계청 2024년 기준 최신 자료는 2023년 기준)

신혼부부의 집 마련 프로젝트

물론 이보다 더 많이 벌거나, 더 적게 벌 수 있지만, 단순하게 통계청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집 마련에 필요한 계산들을 하겠습니다.

 

 

2. 서울 및 지방의 24평(약 79.2㎡) 아파트 평균 가격 (2024년 12월 기준)

신혼부부가 함께 집을 알아보는 모습

3. 주택 구매를 위한 신혼부부 저축 기간 계산

신혼부부가 돈을 모으기 위해 열심히 일하는 모습

지역 필요 자금 월급 월 저축률 연간 저축액 저축 기간
서울 12억 원 30% 2,179만 5천 원 약 55.1년
50% 3,632만 5천 원 33.0년
100% 7,265만 원 16.5년
지방(수도권 제외) 3.5억 원 30% 2,179만 5천 원 16.1년
50% 3,632만 5천 원 9.6년
100% 7,265만 원 4.8년

 

단순히 연평균 소득 약 7,265만 원(2023년 대한민국 신혼부부 평균 소득,통계청)인  신혼부부가 매년 본인들 소득의 30%만 저축해서 12억을 모으려면 약 55년이 걸립니다. 지방은 그나마 아파트 가격이 싸기 때문에 지방 24평(약 79.2㎡) 아파트 평균 가격인 3.5억 원을 모으려면 약 16년이 걸립니다. 서울의 신혼부부가 소득의 100%를 꼬박 저금해도 서울은 집을 구매하는데 16년이 걸립니다.

4. 현실적인 대안

신혼부부 주택마련 방법

 

신혼부부가 정부의 정책들을 이용해서 살 집을 전세나 월세로 얻어도, 2년 만기가 도래하면 계약연장을 위해 지출 비용을 늘리거나, 이사를 가야 합니다. 이런 주거의 불안정성이 신혼부부가 집을 구매하려고 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. 

2025년 기준으로 신혼부부가 아파트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은 두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.

 

1번. 가격이 그나마 싼 구축(사용승인 20년 이상)을 구매

2번. 국가정책으로 신혼부부에게 할당되는 신규 아파트 구매

 

5.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

아는 만큼 내 집 마련이 앞당겨 진다.

 

어쨌든 위에 있는 방법으로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신혼부부를 위한 부동산, 금융 지원을 이용해야 불가능해 보이는 내 집 마련을 현실화시킬 수 있습니다. 이 내용들은 다음 글에서 본격적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