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경제를 알아가기/내 집 마련하기 프로젝트

신혼부부 / 청년 내 집 마련하기 프로젝트 : 본인 맞춤 정책 알아보기

by 인생기록부 2025. 1. 3.
반응형
반응형

신혼부부와 청년들의 요즘 최대 고민은 본인들의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것일 겁니다. 처음 집을 구할 때 부모님이 도와주셔서 집을 구해주시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본인이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. 본인이 돈을 많이 모아놓지 않는 이상, 국가가 지원해 주는 주거 정책을 이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 오늘은 신혼부부와 청년들의 집 마련을 지원해 주는 국가 정책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
 

1. 청년 / 신혼부부 주거복지 설루션   ( 해당 사이트로 이동 )

청년 신혼부부 주거지원(국토교통부, 한국토지주택공사)

 

마이홈의 청년 / 신혼부부 주거지원 페이지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주거복지 솔루션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. 주택공급, 금융지원, 주거비지원, 기타지원, 지자체 주거복지사업, 자가진단 등 주거지 마련에 전방위적인 정보와 지원을 제공합니다.

 

2, 나에게 맞는 주거 정책 알아보기    청년/신혼부부 자가진단 (클릭) 

청년주거지원 사업 자가진단 클릭 시, 화면

 

본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조건들을 선택해 줍니다. 검사 결과를 토대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들이 보이기에 최대한 본인 상황에 맞는 조건을 사실대로 선택해야 합니다.

진단결과보기 화면

진단결과보기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신청 가능한 정책들의 [+]모양을 누르면 상세하게 내 조건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들이 보여집니다. 제 선택 조건은 서울, 전체구, 만 35세(1990년생), 무주택, 부모님 동거 아니요, 기혼(맞벌이), 결혼 5년 미만, 월소득 맞벌이 신혼부부 합계 700 만원(월평균소득 140% 이하), 총 자산21,550만 원 이하, 차량 없음으로 선택한 결과입니다.

 

정책 상세보기 클릭 시, 화면

 

[ 상세 보기 ]를 클릭하면, 위와 같이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 국가의 정책과 상세한 조건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본인의 현재 조건에서 어떤 정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좋은 사이트입니다.

 

3. 지자체 주거복지사업

지자체별 주거복지사업 확인

 

중앙정부의 지원정책뿐만 아니라, 각 지방자치단체의 주거복지사업을 볼 수 있는 메뉴도 존재해서, 본인의 실제 주소지에 해당하는 지자체의 주거복지사업을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.

신혼부부 / 청년 주택 마련을 위한 국가 정책

 

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처음 집을 구하려는 청년과 신혼부부들이 어떻게 본인들 상황에 맞는 국가정책을 찾고,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는 내용이었습니다. 

 

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프로젝트 : 기초 상식

요즘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너무 높아, 내 집 마련하기가 힘들다는 뉴스기사를 종종 봅니다. 국제에서 통용되는 지표인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(PIR) 결과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.

imseng.kr

이전 글에서 본 PIR(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)의 경우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부부합산 연소득을 한 푼도 사용하지 않고 20~25년 모아야지만 주택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. 이건 연소득이 7000만 원이든, 1억이든 부부를 기준으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. 저도 아직 내 집 마련을 하지 못한 상태라 포스팅하면서 정책을 알아보는데 사회초년생이 아닌 신혼부부의 경우, 대상자 선정에서 부부합산 연소득 기준이 높아서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물론, 차상위계층과 저소득층이 먼저 국가의 지원을 받는 게 맞지만, 신혼부부의 연소득이 맞벌이 기준으로 조금 더 상향되어야 현실적인 주택 구입이 가능하다는 것국가도 반영해줘야 한다 생각합니다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