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경제를 알아가기2 신혼부부 / 청년 내 집 마련하기 프로젝트 : 본인 맞춤 정책 알아보기 신혼부부와 청년들의 요즘 최대 고민은 본인들의 보금자리를 마련하는 것일 겁니다. 처음 집을 구할 때 부모님이 도와주셔서 집을 구해주시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본인이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. 본인이 돈을 많이 모아놓지 않는 이상, 국가가 지원해 주는 주거 정책을 이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 오늘은 신혼부부와 청년들의 집 마련을 지원해 주는 국가 정책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1. 청년 / 신혼부부 주거복지 설루션 ( 해당 사이트로 이동 ) 마이홈의 청년 / 신혼부부 주거지원 페이지는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주거복지 솔루션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. 주택공급, 금융지원, 주거비지원, 기타지원, 지자체 주거복지사업, 자가진단 등 주거지 마련에 전방위적인 정보와 지원을 제공합니.. 2025. 1. 3. 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프로젝트 : 기초 상식 요즘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너무 높아, 내 집 마련하기가 힘들다는 뉴스기사를 종종 봅니다. 국제에서 통용되는 지표인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(PIR) 결과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. PIR은 주택 가격을 연 가구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, 값이 높을수록 주택 구입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2023년 기준으로, 나라별 주요 도시서울의 PIR은 26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서울에서 평균적으로 가구 연 소득의 26배에 해당하는 주택을 구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우리와 소득이 비슷한데 우리보다 높은 PIR 수치를 가진 도시는 국제적으로도 홍콩(PIR 44.9) 한 도시뿐입니다. 샌프란시스코(15,96), 뉴욕(10.68)만 봐도 상대적으로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한국의 신.. 2024. 12. 31. 이전 1 다음 반응형